본문 바로가기
건강

기침도 없는데 결핵이라고? 잠복결핵, 당신도 감염자일 수 있습니다

by 하루망 2025. 4. 9.

 

기침이심해요

기침도 발열도 없는데 결핵이라고요?
무증상이라 놓치기 쉬운 잠복결핵, 몸속에 조용히 숨어 있는 시한폭탄일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 진단 기준부터 치료, 검사법까지 핵심만 정리해드릴게요.

🩺 잠복결핵 진단 기준

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되었지만 증상도 전염성도 없는 상태입니다.

  • TST 또는 IGRA 검사 양성
  • 흉부 X-ray 이상 없음
  • 현재 증상 없음
💡 면역저하자, 결핵 환자 접촉 이력자는 검사 권장!

💊 치료 꼭 필요할까요?

잠복결핵이 활동성으로 전환되면 자신과 타인에게도 큰 위협이 됩니다.
면역저하자, 고령자, 만성질환자는 꼭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.

🔬 검사 방법

  1. TST (투베르쿨린 반응 검사)
  2. IGRA (인터페론 감마 검사)

양성 시 흉부 X-ray 등 추가 검사가 이뤄집니다.

⚠ 약 복용 시 부작용

  • 간 수치 상승
  • 식욕 저하, 피로
  • 드물게 발진
👩‍⚕️ 정기적인 간기능 검사와 의사의 상담이 중요합니다.

📊 활동성 결핵과의 차이

구분 잠복결핵 활동성 결핵
증상 없음 기침, 발열 등
전염성 없음 있음
검사 TST/IGRA X-ray, 객담
치료 조건부 필수

⏳ 치료 기간

  • INH 단독: 6~9개월
  • 리팜핀 단독: 4개월
  • 병용요법(INH+RFP): 3개월

💉 예방접종으로 예방 가능?

BCG는 영유아용입니다. 성인은 검진과 치료가 최선의 예방법입니다.

🌬 감염 경로

기침, 재채기 → 공기 중 비말 감염.
감염 후 수년 뒤 활동성 전환될 수 있습니다.

🚨 면역저하자는 특히 주의!

장기이식, 암, 당뇨, 고령자 등은 반드시 검진과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.

🏥 건강검진에 포함될까?

일반 검진에는 미포함.
직장, 학교, 의료기관 종사자는 선별검사 권장

☕ 치료 중 생활 수칙

  • 음주 삼가 (간독성 위험)
  • 약 복용 시간 일정하게
  • 이상 반응 시 즉시 병원

👨‍⚕️ 직장 검진에서 양성 나왔다면?

폐사진

  1. 병원 진료 → 치료 여부 결정
  2. 치료 시 정기검사 및 복약관리
  3. 생활습관 관리 병행

📈 연령대별 감염률

  • 60대 이상: 30~40%
  • 40~50대: 20~30%
  • 20~30대: 10~20%

🩺 국가 치료 지원

보건소에서 약제 무상 제공, 등록 상담 가능

❓ Q&A

Q1. 왜 치료해야 하나요?
A. 활동성 전환 예방을 위해 필요합니다.

Q2. 오래된 감염도 치료 가능?
A. 네, 전환 위험은 여전히 존재합니다.

Q3. 간 수치가 올라가면?
A. 약제 변경 또는 중단 필요 → 의사 상담 필수

Q4. 직장 검진 양성 → 무조건 치료?
A. 고위험군 아니라면 선택사항, 상담 후 결정

Q5. 예방접종만으로 충분한가요?
A. 아닙니다. 성인은 별도로 검사/치료가 필요합니다.

지금 지역 보건소에서 잠복결핵 검진 가능 여부 확인해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