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건강

치약 유해 성분, 매일 독 바르고 있다면?

by 하루망 2025. 4. 11.

 

알고쓰자!

매일 사용하는 치약, 얼마나 안전한가요?
구내염 유발부터 호르몬 교란, 발암 가능 성분까지 포함된 치약이 의외로 많습니다.
지금부터 꼭 피해야 할 치약 속 유해 성분 6가지안전한 선택 기준을 체크해보세요.
 

🫧 1. 거품 많은 치약, SLS 때문일 수 있어요

SLS(소듐라우릴설페이트)는 풍성한 거품을 위한 계면활성제지만, 입안을 자극하고 구내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  • 구내염 자주 생기는 분
  • 입안이 자주 따갑고 헐어 있는 분
  • 임산부, 어린이, 민감성 치아

✔ SLS-Free 치약, 민감성 전용 제품을 선택하세요.

 

☣️ 2. 트리클로산, 항균 기능보단 독성 우려

Triclosan은 항균용으로 쓰였지만, 호르몬 교란·항생제 내성 등 유해성 때문에 미국 FDA에서 퇴출되었습니다.

  • 호르몬 교란
  • 항생제 내성
  • 간·신장 부담

✔ Triclosan-Free 제품인지 꼭 확인하세요.

 

💧 3. 파라벤, 방부제지만 입안에는 위험

Paraben은 방부제지만 호르몬을 교란할 수 있어 특히 여성과 아이, 임산부에게 위험합니다.

✔ Paraben-Free 치약을 선택하세요.

 

⚠️ 4. PEG 성분, 발암물질 잔류 가능성 주의

PEG(폴리에틸렌글리콜)은 질감을 위한 성분이지만 1,4-다이옥산 등 발암 물질 잔류 가능성이 있습니다.

✔ 아이용 치약은 PEG-Free 제품이 안전합니다.

 

🎨 5. 예쁜 색과 향, 구강 건강과 무관

화려한 색소와 향료는 기능보다 시각 효과용이며, 오히려 두통·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
  • 합성 향료: 두통, 알레르기
  • 인공 색소: 청색1호, 적색40호 등

✔ 무향·무색소 치약이 가장 안전합니다.

 

🌿 6. 무불소 치약, 무조건 좋지는 않아요

불소는 충치 예방에 꼭 필요하지만 과잉 섭취 시 치아 불소증을 유발할 수 있어 연령별 적정량이 중요합니다.

연령 권장 불소 농도 (ppm)
만 6세 이하 500~1000
성인 1000~1500

✔ 연령에 맞는 저불소 치약을 선택하세요.

 

✅ 좋은 치약 고르는 체크리스트

  • ✔ SLS-Free
  • ✔ Triclosan-Free
  • ✔ Paraben-Free
  • ✔ PEG-Free
  • ✔ 무향·무색소
  • ✔ EWG 그린 등급 성분 사용
 

💬 자주 묻는 질문 (Q&A)

Q. 거품 없는 치약, 세정력이 약한가요?
A. 아닙니다. 거품은 촉각 요소일 뿐, 세정력과 무관합니다.

Q. 무불소 치약이 더 안전한가요?
A. 아닙니다. 적정량의 불소는 꼭 필요합니다.

Q. 아이 치약에 색소가 있어도 되나요?
A.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. 색소는 시각효과용일 뿐입니다.

Q. 어떤 브랜드가 좋을까요?
A. 브랜드보다 유해 성분 없는 제품을 우선 확인하세요.

🔍 더 많은 건강 꿀팁이 궁금하다면?

▶ 내 블로그 전체 글 보러가기